이 테이블은 가격, 배포주기,
생성날짜, 업데이트, 유형, 키워드, 내용, 활용예제, 연락처, 이메일, 데이터 가공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음.
가격 |
무료 |
배포주기 |
1년 |
생성날짜 |
2021-09-16 |
업데이트 |
2024-12-18 |
유형 |
ZIP |
키워드 |
GIS, 분석자료, 녹색잎지수, GLI, Green Leaf Index, ESA, Sentienl-2, 위성영상, 지질, 지형 |
내용 |
ESA가 운영중인 Sentinel 위성영상을 가공하여 만든 남한 지역의 녹색잎지수 영상이며, 30m 해상도이고, 파일 포맷은 ascii, grid, geotiff이다.
- 2019, 2020, 2021년에 한반도를 촬영한 Sentienl-2 (ESA 운영중) 영상을 가공하여 제작한 녹색잎지수(GLI: Green Leaf Index) - Sentinel-2 제공 데이터의 band2(Blue), band3(Green), band5(Vegetation Red Edge1) 조합식 활용 - GLI는 녹색잎을 지닌 식물을 측정하기 위한 지수로, –1~1사이의 값을 가지며 -1~0의 값은 토양과 무생물의 특성을 나타내고, 0~1의 값은 녹색잎과 줄기를 나타낸다. - UTM-K(EPSG:5179), 30m*30m 라스터형식 - 남한 통판 자료와 행정구역별 자료 포함
- 활용된 위성영상 출처 -* 본 산출물의 입력자료로 활용한 Landsat과 Sentinel 위성영상은 각각 NASA 및 USGS와 ESA에서 소유하고 있으며, 다음의 사이트에서 각각 수집하였음. 본 산출물은 이러한 영상을 처리 및 분석 등 가공을 한 데이터임. Landsat 데이터는 Earth Explorer(https://earthexplorer.usgs.gov/)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, Sentinel 데이터는 Copernicus Open Access Hub (https://scihub.copernicus.eu/dhus/#/home)을 통하여 다운로드 가능. |
활용예제 |
지형, 지질 등 지표면 및 지하 현황 파악 및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 산사태, 홍수, 지진 등 자연재해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 지하수, 광물자원, 골재 등 지하자원 개발을 위한 기초 데이터 도시 및 토지 개발, 도로, 철도 적지 선정 등을 위한 기초 데이터 지형 및 지질과 관련된 인공지능 비즈니스 적용을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 엔지니어링 업체, 대학 및 연구기관의 실무 및 교육/연구용 |
참고자료 |
|
연락처 |
01034103297 |
이메일 |
jghan@kigam.re.kr |
데이터 가공유형 |
가공 |